이것은 과학이 아니다

이것은 과학이 아니다

과학이라 불리는 비과학의 함정

저자 : 마시모 피글리우치 / 역자 : 노태복
분야 : 과학/기술
출간일 : 2012-07-06
ISBN : 9788960512207
가격 : 20,000원

지적설계론을 주장하고 지구온난화를 부정하는 엉터리 과학을 향한 거침없는 해부!   시조새의 교과서 삭제를 둘러싸고 과학계가 떠들썩하다. 우리나라 교과서진화론개정추진위원회가 교육과학기술부에 “국내에서 사용하는 고등학교 과학교과서의 ‘시조새’에 관한 기술 내용이 학술적으로 잘못된 것이므로 삭제해달라”고 ···

책소개

과학이라 불리는 비과학의 함정


지적설계론을 주장하고 지구온난화를 부정하는 엉터리 과학을 향한 거침없는 해부!
 
시조새의 교과서 삭제를 둘러싸고 과학계가 떠들썩하다. 우리나라 교과서진화론개정추진위원회가 교육과학기술부에 “국내에서 사용하는 고등학교 과학교과서의 ‘시조새’에 관한 기술 내용이 학술적으로 잘못된 것이므로 삭제해달라”고 청원한 것이 받아들여진 사실을 영국의 과학저널 <네이처>와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 등이 보도하면서다. 교과서진화론개정추진위원회는 “진화론은 사상, 이념체계이지 과학이 아니다. 과학을 빙자한 내용이 교과서에 소개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렇다면 창조론은 과학일까. 이 책을 쓴 마시모 피글리우치 뉴욕시립대 철학교수(철학교수라지만 유전학, 식물학, 과학철학 박사다)는 창조론에 대한 열렬한 비판가이자 과학 교육 옹호자로 유명하다.
 
이 책의 목표는 과학과 사이비과학을 구별하는 것인데 창조론과 진화론 논쟁은 그 대표적인 사례에 해당한다. 저자에 따르면 창조론(지적설계론)은 과학이 아니다. 하지만 무엇이 과학이 아니라고 말하는 것은 단순한 일이 아니다. 저자는 이를 위해 과학의 본성과 한계, 논리적 오류, 믿음의 심리 작용, 그리고 정치학과 사회학에 대한 이해까지 파고든다. 지구온난화 부정론을 비롯해 우리가 과학적이라고 믿고 있는 비과학은 때로 생명과 미래를 앗아가는 비수가 되어 돌아오기도 하기 때문이다.


 
무엇을 사이비과학이라 할 수 있는가

- 경성과학과 연성과학

이 책의 원제는 『Nonsense on stilts』다. ‘죽마에 올라탄 헛소리’란 뜻으로 영국의 철학자 제러미 벤담이 한 말이다. 헛소리 과학, 즉 비과학과 사이비과학을 과학에서 가려내려면 과학이 무엇인지부터 이해해야 한다. 그래서 저자는 경성과학(물리학, 화학, 분자생물학 등)과 연성과학(생태학, 진화생물학, 심리학 등) 중 어느 쪽이 더 엄밀하냐고 묻는 것으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물리학은 심리학보다 견고할까? 1987년 시카고 대학교 래리 헤지스 교수의 실험에 따르면 “놀랍게도 자연과학 연구 결과가 사회과학 연구 결과보다 두드러지게 더 일관적인 것은 아니다.”(27쪽) 그러면 과학에는 꼭 실험이 필요할까? 그렇지 않다. 천문학에서는 실험을 할 수 없다. 하지만 체계적인 관찰과 가설의 구성 및 검사로 과학의 영역에 굳게 자리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빅뱅 이론과 운석으로 인한 공룡의 멸종 증명이다.(33쪽) 과학의 스펙트럼은 넓다. 완전히 역사적인 과학(고생물학, 천문학)이든, 부분적으로 역사적인 과학(진화생물학, 지질학)이든, 비역사적인 과학(물리학, 화학)이든, 모든 과학의 공통점은 실험이나 관찰을 통해 체계적으로 수집한 실증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가설을 세우고 검증하는 능력에 있다.
 
- 거의 과학
 
그렇다면 다음으로 생각해볼 것은 ‘거의 과학(almost science)’이라 부를 만한 영역이다. 누구나 과학임을 의심하지는 않는 다중우주 이론, 끈 이론, 외계지적생명체탐사(SETI), 진화심리학 등은 어떨까. 저자는 앞의 두 이론이 수학 이론의 결과물로 논리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실증적으로 검증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엄밀히 보자면 과학이 아니며 철학적 탐구에 가까운 활동이라고 말한다.(사이비과학은 아니지만) 외계지적생명체탐사도 마찬가지다. 1960년 전파천문학자 프랑크 드레이크의 ‘오즈마 프로젝트’로 시작된 SETI는 이후 수억 달러, 수백만 시간, 수십 년간의 조사가 투입되었지만 아무것도 밝혀지지 않았다. 중심 가설(우주에 지적 생명체가 존재한다)에 대한 실증적 증거와 검증 가능성이 없기 때문이다. SETI가 실제로 사이비과학은 아니지만 프랑크 드레이크가 제시한 방정식(57쪽)은 각 항의 값을 추정하기 어렵다는 데서 이론적 바탕도 빈약하다.
그렇다면 진화심리학은 진화생물학의 합법적인 분과 학문일까 아니면 사이비과학에 더 가까울까. 이것도 마찬가지다. 안타깝게도 인간의 행동이나 자연선택을 불러일으킨 환경 등은 화석 기록을 남기지 않는다. 대상 종을 가까운 친척과 비교하는 것도 현존하는 친척이 얼마 되지 않으므로 어려운 일이다. 대표적인 것이 랜디 손힐 등의 『강간의 자연사』이다.(66쪽) 이처럼 제대로 된 과학과 ‘과학적’이라고 할 수 없는 활동 사이의 중간 지대에는 복잡한 지적 풍경이 펼쳐져 있다.
 
- 사이비과학
 
이제 본격적으로 사이비과학을 알아볼 차례다. 저자는 여기서 에이즈 부정론, 점성술, UFO, 초자연현상을 예로 든다.(저자가 이 책을 쓴 이유라 할 정도로 비판 대상이 되는 지구온난화 부정론, 지적설계론 등은 4장~7장에서 다룬다.) <스카이 뉴스>에 따르면 2008년 감비아 대통령은 에이즈 치료제를 개발했다. “크림을 한 번 문지르고 얼굴에 어떤 약을 한 번 뿌리고 탁한 액체를 한 번 마시는” 것이다. 이 치료법은 감비아 보건부의 승인을 받았다. 같은 날 <스카이 뉴스>에 보도된 다른 뉴스에 따르면 에티오피아 정교회는 성직자가 신자에게 물을 세게 뿌리는 동시에 나무 십자가로 이들을 때리는 에이즈 치료법을 시행했다. 『뉴요커』지에 따르면 심지어 경제적으로 번성하는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도 어느 트럭 운전사가 꿈에서 환영을 보고 에이즈 치료제를 개발하여 의료행위를 벌이기도 한다.(92~94쪽)

점성술은 우리나라에서는 흔하지 않지만 서구에서는 1만 명당 한 명이 믿고 수많은 돈과 시간을 쏟아 붓는다. 하지만 별자리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 별자리를 이루는 별들은 지구에서 매우 멀리 떨어져 있다. 게다가 황도상의 별자리는 오랜 세월 동안 조금씩 바뀐다. ‘우주적 영향’이나 ‘제5의 힘’은 현대물리학으로는 밝혀낼 수 없는 것이다.(100쪽) 흥미롭게도 1985년 『네이처』에 발표된 캘리포니아 대학교 숀 칼슨의 연구에 따르면 피실험자 점성술사 30명은 고객에 맞는 천궁도를 세 번 중 한 번만 옳게 골랐다. 누가 해도 이 정도 결과는 나온다.

사이비과학의 가장 안타까운 예를 보자. 1997년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에서 39명이 집단으로 자살했다. ‘천국의 문’이라는 UFO 컬트 조직이었다. 이들은 UFO가 헤일밥 혜성을 뒤쫓다가 자신들을 태워서 그 행성에 데려다 준다고 믿었다. 저자는 떠들썩했던 ‘1986년 UFO 목격 사건’을 비롯해 UFO 목격 사건의 진실을 밝히면서, 왜 이런 사건이 대부분 불가사의로 남는지 지적한다.(110쪽) 이와 함께 사이비과학 연구의 실패 사례로 ‘텔레파시’를 연구한 프린스턴 대학교 윌리엄 하퍼의 PEAR 연구소를 소개하고 있다. 다음은 PEAR 연구소 폐쇄에 대해 『네이처』지 루시 오들링 스미 기자가 한 말이다. “사용된 방법이야 과학적이긴 하지만, 표준적인 이론 체계에 들어맞지 않는 연구에 관해 과학이 얼마만큼 너그러워야 하는가?”

<차례>
 
들어가며 과학 대 사이비과학 그리고 ‘경계 설정 문제’  6
 
1장   경성과학, 연성과학  13
2장   거의 과학  41
3장   사이비과학  87
4장   미디어 탓이다?  129
5장   과학에 관한 토론 : 싱크탱크의 부상과 대중지식인의 몰락  159
6장   과학과 정치 : 지구온난화 문제  203
7장   법정의 과학 : 지적설계론에 대한 소송  243
8장   미신에서 자연철학으로  281
9장   자연철학에서 현대 과학으로  311
10장  과학 전쟁 Ⅰ: 우리는 과학을 지나치게 신뢰하고 있지 않은가?  347
11장  과학 전쟁 Ⅱ: 우리는 과학을 너무 적게 신뢰하고 있지 않은가?  377
12장  여러분의 전문가는 누구인가?  415
 
결론       과학이란 무엇인가?  449  
주          454
찾아보기 482

펼쳐 보기

저자/역자소개

저자 : 마시모 피글리우치

라이베리아에서 태어났으며 이탈리아에서 자랐다. 이탈리아의 페라라 대학에서 유전학으로, 미국 코네티컷 대학에서 식물학으로, 그리고 테네시 대학에서 과학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뉴욕시립대(CUNY)의 철학 교수이며 <생물학의 철학과 이론Philosophy & Theory in Biology> 지의 편집장이기도 하다. 창조론에 대한 열렬한 비판가이자 과학 교육의 옹호자로 유명하다. 저서로는 『진화를 부정하기Denying Evolution』, 조너선 케플러와 공저한 『진화의 이해Making Sense of Evolution』 등이 있다.

역자 : 노태복

한양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환경과 생명 운동 관련 시민단체에서 해외 교류 업무를 맡던 중 번역가의 길로 들어섰다. 과학과 인문의 경계에서 즐겁게 노니는 책들 그리고 생태적 감수성을 일깨우는 책들에 관심이 많다. 옮긴 책으로 『꿀벌 없는 세상, 결실 없는 가을』 『생태학 개념어 사전』 『뫼비우스의 띠』 『신에 도전한 수학자』 『우주, 진화하는 미술관』 『동물에 반대한다』 『생각하는 기계』 『진화의 무지개』 『19번째 아내』 등이 있다.

미디어속 부키 책

[이투뉴스] 비과학과 과학의 경계, `이것은 과학이 아니다`

[이투뉴스] 비과학과 과학의 경계, '이것은 과학이 아니다' 이투뉴스 이준형 기자가 작성한 <이것은 과학이 아니다> 서평입니다. 진화론 대 창조론 논쟁이 가장 뜨거운 나라는 미국이다. 1925년부터 법정 소송이 끊이지 않았다. 2004년 도버 시 소송에서 지적설계론자들이 졌지만 미연방대법원에 이르기까지 앞으로도 수년간 ···

[세계일보] 현혹하는 ‘헛소리 과학’ 가려내려면 : 이것은 과학이 아니다

[세계일보] 현혹하는 ‘헛소리 과학’ 가려내려면 : 이것은 과학이 아니다 세계일보 김태훈 기자가 작성한 서평기사 입니다. 책의 원래 제목은 ‘Nonsense on stilts’. 해석하면 ‘죽마에 올라탄 헛소리’다. 영국 철학자 제러미 벤담은 과학을 이런 말로 표현하면서 비꼬았다. 이···

[조선비즈] [經-財 북리뷰] 이것은 과학이 아니다

[조선비즈] [經-財 북리뷰] 이것은 과학이 아니다 경제전문 미디어인 [조선비즈]에서 <이것은 과학이 아니다> 서평 기사를 썼습니다. 이 책의 저자는 창조론과 사이비 과학의 열렬한 비판가다. 저자는 2002년부터 2004년까지 진행된 도버시 소송을 상세히 소개한다. 그는 당시 판결의 핵심인 ‘지적설계론은 과연 과학인가···

[더사이언스] 창조론? ‘죽마에 올라탄 헛소리!’ : 이것은 과학이 아니다

[더사이언스] 창조론? ‘죽마에 올라탄 헛소리!’ : 이것은 과학이 아니다 인터넷 과학신문 [더사이언스] 중 과학기자가 읽는 과학책 코너에 실린 [이것은 과학이 아니다] 서평입니다. 지난달 25일 번역 신간으로 국내에 첫 소개된 이 책은 ‘과학의 탈을 쓴’ 비과학의 세계를 신랄하게 비판한다. 피글리우치 ···

[전자신문] [북스 클로즈업] 이것은 과학이 아니다 : 이것은 과학이 아니다

[전자신문] [북스 클로즈업] 이것은 과학이 아니다 : 이것은 과학이 아니다 전자신문의 서동규 기자가 쓴 [이것은 과학이 아니다] 서평 기사 내용입니다.   진화론이 비과학이라면 창조론은 과학일까. 저자 마시오 피글리우치 뉴욕시립대 철학교수는 `사이비 과학`이라고 단정 짓는다. 과학의 본성과 한계, 논리적 오류, 믿음의 심리 작용···

[동아일보] 진화론자가 외친다… “창조론은 과학이 아니오” : 이것은 과학이 아니다

[동아일보] 진화론자가 외친다… “창조론은 과학이 아니오” : 이것은 과학이 아니다 동아일보 전주영 기자의 서평기사입니다. “한국, 창조론자들 요구에 항복.” 영국의 과학저널 ‘네이처’와 미국의 시사주간지 ‘타임’은 최근 한국 교과서에서 시조새 관련···

[한국일보] 창조론·점성술·UFO에 대한 과학적 비판론 : 이것은 과학이 아니다

[한국일보] 창조론·점성술·UFO에 대한 과학적 비판론 : 이것은 과학이 아니다 '과학이라 불리는 비과학의 함정'이란 이 책의 부제가 새삼 와 닿는 것은 최근 국내에서도 비슷한 일이 벌어졌기 때문이다. "시조새에 관한 내용이 학술적으로 잘못됐으므로 삭제해달라"는 청원을 교육과학기술부에 낸 창조론자···

관련도서

멸치 머리엔 블랙박스가 있다
멸치 머리엔 블랙박스가 있다-황선도

고등어는 왜 등이 푸를까? 그 흔하던 명태는 왜 더 이상 잡히지 않을까? 넙치와 가자미는 눈이 왜 한쪽에 몰려···

아인슈타인의 생각실험실 1
아인슈타인의 생각실험실 1-송은영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이 세상 모든 것은 더 이상 걷어낼 ···

숫자의 탄생
숫자의 탄생-조르주 이프라

시대와 문명을 가로지르는 환상적인 숫자 여행 숫자는 어디서 온 걸까? 옛날에는 어떻게 셈을 했을까? ···

부정 본능
부정 본능-아지트 바르키,대니 브라워

우리는 왜 자신을 속이고 잘못된 믿음을 가지며 현실을 부정하도록 진화했을까 수백만 년 동안 기회가 있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