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정한 이타주의자

냉정한 이타주의자

세상을 바꾸는 건 열정이 아닌 냉정이다

저자 : 윌리엄 맥어스킬 / 역자 : 전미영
분야 : 인문/교양
출간일 : 2017-02-28
ISBN : 9788960515833
가격 : 16,000원

그의 철저하고 치밀한 데이터 분석에 반했다! - 빌 게이츠 선의와 열정에만 이끌려 무턱대고 실천하는 경솔한 이타주의의 불편한 진실   무분별한 선행은 오히려 무익할 때가 많다. 실효가 전혀 없거나 오히려 해악을 끼치는 선행 사례는 도처에서 볼 수 있다. 아프리카 물부족 국가에 식수 펌프를 보급하려 했던 ‘플레이펌프스인···

책소개

세상을 바꾸는 건 열정이 아닌 냉정이다

그의 철저하고 치밀한 데이터 분석에 반했다! - 빌 게이츠

선의와 열정에만 이끌려 무턱대고 실천하는

경솔한 이타주의의 불편한 진실

 

무분별한 선행은 오히려 무익할 때가 많다. 실효가 전혀 없거나 오히려 해악을 끼치는 선행 사례는 도처에서 볼 수 있다. 아프리카 물부족 국가에 식수 펌프를 보급하려 했던 ‘플레이펌프스인터내셔널’은 선의와 열정만 앞세운 사업 운영으로 결국 국제사회의 비난을 받으며 폐업했다. 저자는 광범위한 사업을 전개하는 월드비전, 옥스팜, 유니세프 등 거대 자선단체도 효율성이 떨어지긴 마찬가지라고 주장한다. 보건사업에 비해 비용은 더 많이 들고 효율은 더 떨어진다는 전문가들의 진단에도 재해구호에 전력을 기울이다시피 하기 때문이다. 개인 차원의 선행도 효과가 없기는 마찬가지다. 공정무역 제품 구매도, 노동착취 제품 불매도, 온실가스 감축 노력도 소용이 없다는 수치가 넘쳐난다. 일상적으로 실천하는 이타적 행위가 실제로 세상에 득이 되는지 실이 되는지 냉정하게 따져 봐야 하는 이유다. 이 책은 감정에 좌우되지 않는 냉정한 판단이 앞설 때라야 비로소 우리의 선행이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음을 일깨워 준다.

<저자 및 역자 소개>

지은이 윌리엄 맥어스킬

윌리엄 맥어스킬 William MacAskill 은 옥스퍼드대학교 철학과 부교수이자 비영리 단체 ‘기 빙왓위캔 Giving What We Can ’, ‘8만시간 80,000 Hours ’의 공동 설립자다. 1987년생 젊은 철학자 인 맥어스킬은 기부문화에 신선한 바람을 불러일으킨 효율적 이타주의 effective altruism 운동을 이끄는 핵심 인물이다. 그가 몸담고 있는 단체는 종신기부 서약 등을 통해 5억 달러(약 5900억 원) 이상을 모금하는 성과를 거뒀으며 그 활약상이 『뉴욕타임스』, 『월스트리트저널』, BBC 등 각종 언론에 여러 차례 소개된 바 있다. 온라인 경제 매체 ‘쿼츠 Quartz’와 『뉴요커』, 『가디언』, 『인디 펜던트』, 『타임』, 『워싱턴포스트』 등 유수 매체에 글을 연재·기고하고 있다. 현재 영국 옥스퍼 드에 거주하고 있다.

옮긴이 전미영

전미영은 서울대 정치학과와 같은 학교 대학원을 졸업했다. 언론사와 NGO에서 근무한 뒤 현재 전문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바버라 에런라이크의 『긍정의 배신』, 『희망의 배신』, 『오! 당 신들의 나라』, 『신을 찾아서』, 『나는 왜 똑같은 생각만 할까』를 비롯해 다수의 책을 번역했다.

<차례>

머리말   식수 공급과 해충구제

           빈곤층의 삶을 개선시키는 선행은 무엇일까?

Chapter 1 당신은 상위 1퍼센트다

           얼마를 더 벌어야 행복할까?

PART 1 감정에 휘둘리지 않는 냉정한 이타주의자

           효율적 이타주의의 5가지 사고법

Chapter 2 선택의 득과 실

           첫 번째 얼마나 많은 사람들에게, 얼마나 큰 혜택이 돌아가는가?

Chapter 3 당신은 수백 명의 목숨을 구할 수 있다

           두 번째 이것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인가?

Chapter 4 재해구호에 기부하면 안 되는 이유

           세 번째 방치되고 있는 분야는 없는가?

Chapter 5 1억2000만 명을 구한 사람

           네 번째 우리가 돕지 않았다면 어떻게 됐을까?

Chapter 6 투표는 수십만 원 기부나 다름없다

           다섯 번째 성공 가능성은 어느 정도이고, 성공했을 때의 효과는 어느 정도인가?

PART 2 착한 일을 할 때도 성과를 따지는 냉정한 이타주의자

           효율적 이타주의의 실천적 해법

Chapter 7 CEO 연봉과 기부금

           가장 효율적으로 남을 돕는 곳은 어디일까?

Chapter 8 차라리 노동착취 공장 제품을 사라

           착한 소비자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Chapter 9 열정을 따르지 마라

           세상을 가장 크게 변화시키는 직업은 무엇일까?

Chapter 10 빈곤 대 기후변화

           어떤 문제가 더 중요할까?

결론     효율적으로 남을 돕고 싶다면

           지금 당장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

부록     착한 일을 하기 전에 물어야 할 4가지 질문

 

 

<추천사>

“맥어스킬 특유의 철학과 기초 경제학 개념들이 적절히 배합된 책.”

_ 수 데스몬드-헬만 Sue Desmond-Hellmann, 빌앤멜린다게이츠재단 Bill & Melinda Gates Foundation 최고경영자

“훌륭하다. 우리의 직관을 배반하는 통찰력으로 가득하며 막힘 없이 술술 읽힌다. 맥어스킬의 조언 덕에 기부하던 단체 두 곳을 바꿨다. 이 책을 읽고 나면 당신도 다르지 않을 것이다.”

_ 『가디언 The Guardian』

“옳은 일을 하기란 어려운 법이다. 옳은 일을 손쉽게 실천하고 싶은 이들을 위한 탁월한 입문서.”

_ 복스닷컴 Vox.com

“유려한 필치와 명민한 솜씨로 풀어낸 책. 더 나은 세상을 만들고 싶은 사람이라면 반드시 읽어야 한다.”

_ 스티븐 레빗 Steven Levitt, 『괴짜경제학 Freakomics』 『세상물정의 경제학 When to Rob a Bank』 저자

“‘최대다수의 행복을 위해 세상을 변화시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 불멸의 화두를 파고드는 책이다. 윤리적 소비와 직업 활동, 기부와 자원봉사에 특별한 가치를 더해 줄 원대한 비전을 제시하는 책.”

_ 애덤 그랜트 Adam Grant, 『기브앤테이크 Give and Take』 『오리지널스 Originals』 저자

“자기만족이나 생색내기가 목적이 아닌, 타인의 삶을 실제로 변화시키는 선행을 위한 완벽한 지침서.”

_ 스티븐 핑커 Steven Pinker, 하버드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 The Better Angels of our Nature』 저자

“냉철하면서도 흡입력 있게 베풂의 정신을 설파한다.”

_ 레이드 호프만 Reid Hoffman, 링크드인 LinkedIn 의 공동 창립자·회장

“더 나은 진로, 보다 나은 삶, 더 살기 좋은 세계를 꿈꾸는 사람들의 길잡이가 될 필독서.”

_ 피터 싱어 Peter Singer, 프린스턴대학교 생명윤리학과 교수, 『동물 해방 Animal Liberation』 『효율적 이타주의 The Most Good You Can Do』 저자

“인류의 생존보다 담배 광고에 더 많은 돈을 쓰는 시대. 이 잘못된 우선순위를 바로잡으려면 효율적 이타주의가 필요하다. 우리 시대가 직면한 문제를 진정으로 바로잡고 싶다면 이 책을 읽으라.”

_ 잔 탈린 Jaan Tallinn, 스카이프 Skype, 카자 Kazaa, 메타메드 MetaMed 공동 창립자

“지금껏 기부에 관해 나온 책 중 가장 귀중한 조언이 담긴 책.”

_ 폴 브레스트 Paul Brest, 스탠퍼드 자선·시민사회센터 Stanford Center for Philanthropy and Civil Society 공동이사

“효율적으로 선행을 베풀고 싶은가? 이 책이 그 방법을 알려줄 것이다.”

_ 타일러 카우언 Tyler Cowen, 조지메이슨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중간은 없다 Average is Over』 저자

“이 책을 읽지 않고 ‘착한 일’을 하려다간 자칫 당신 자신과 남들에게 해를 끼칠 수 있다!”

_ 찰리 브레슬러 Charlie Bresler, 멘스웨어하우스 Men’s Wearhouse 부사장, ‘당신이 구할 수 있는 생명 Life You Can Save ’ 상임이사

“독창적인 사유, 명쾌한 설득력, 뛰어난 실용성이라는 삼박자를 두루 갖춘 책. 독자들에게 분연히 일어나 세상을 마주보라고 촉구한다. 이 책은 사회 변혁을 요구하는 선언문이며 맥어스킬은 이러한 변화를 주도할 이상적인 인물이다.”

_ 에릭 드렉슬러 Eric Drexler, 나노공학자, 『창조의 엔진 Engines of Creation』 저자

“이 책을 읽고 나면 시력교정 수술을 받은 것처럼 세상을 보는 눈이 완전히 달라질 것이다.”

_ 우리 브램 Uri Bram, 『통계로 생각하기 Thinking Statistically』 저자

“읽는 내내 책을 내려놓을 수 없었다. 이 책이 당신의 인생을 바꿀 것이다.”

_ 닉 쿠니 Nick Cooney, 『효과적인 선행 How to Be Great at Doing Good』 저자

“이타적 충동을 지혜롭게 조율해야 더 나은 세상을 만들 수 있다. 이 책이 그 소임을 다한다면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큰 선을 행하는 셈이다.”

_ 마틴 리스 Lord Martin Rees, 전 영국학술원장

“철학자는 관념에만 사로잡힌 채 행동에 나서지 않는, 범접 불가한 메마른 사람이라고 생각하는가? 그렇다면 틀렸다. 맥어스킬은 이성과 감성을 결합시켜야 더 살기 좋은 세상을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 방법을 직접 보여 주고 실천하는 철학자다.”

_ 딘 칼런 Dean Karlan, 예일대학교 교수, 『빈곤의 덫 걷어차기 More Than Good Intentions』 저자

“‘혼자 힘으로는 아무것도 이룰 수 없다’는 나태한 신화를 깨뜨리는 동시에 올바른 질문을 던지는 게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 준다. 뜨거운 가슴과 차가운 머리를 가진 사람이라면 꼭 읽어야 할 책이다.”

_ 조슈아 그린 Joshua Green, 하버드 도덕인지연구소 소장, 『도덕적 공동체 Moral Tribes 』 저자

“거대한 바람을 불러일으킬 새로운 자선운동의 중심에 이 책이 자리할 것이다.”

_ 오브리 드 그레이 Aubrey de Grey, SENS연구재단 수석과학담당관

“선의의 독지가들과 사회복지 프로그램이 돈과 자원을 헛되이 낭비하는 경우를 숱하게 봐 온 터다. 감정에 치우쳐 무분별하게 자선사업을 펼칠 게 아니라 실증 자료와 명석한 판단을 동원해 최대한의 선을 베풀어야 한다. 이 책은 이를 위한 유쾌한 실천 지침이다.”

_ 짐 그린바움 Jim Greenbaum, 그린바움재단 창립자

<내용: 본문 맛보기>

당신이 자선단체에 얼마간의 돈을 기부하려 한다고 치자. 아이티 지진 구호활동을 펼치는 단체에 기부하면 재난 희생자들을 도울 수 있다. 이는 우간다의 에이즈 퇴치나 당신이 사는 동네의 노숙자 돕기에 기부할 돈이 줄어든다는 뜻이다. 당신의 선택에 따라 생활이 개선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다. 상황이 이렇다면 한 군데를 선택하기보다 차라리 모든 단체에 빠짐없이 기부하고 싶을지도 모른다. 기부할 돈을 더 마련하거나 기부금을 쪼개 몇 군데로 나눠 보내는 방법도 있다. 하지만 당신이 가진 돈과 시간은 제한돼 있고 당신이 세상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도 없다. 따라서 어려운 결정을 내려야 한다. 당신은 누구를 도울 것인가? 저마다 도움이 절실한 상황에 처해 있고 우리의 행동에 따라 삶이 더 개선될 수 있는, 도움 받아 마땅한 사람들이다. 따라서 누구를 도울 것인지 결정해야 한다. 결정하지 않는 것이야말로 최악의 결정이다._본문 51~52쪽

 

어떤 사람이 공장식 축산 농장에서 사육되는 동물의 고통을 덜어 주려는 생각에 닭가슴살 대신 채소를 구입한다. 그렇다고 상황이 달라질까? 당신은 아니라고 할 것이다. 1명이 오늘부터 닭가슴살을 구입하지 않는다 해도 지구상 모든 사람들이 변함없이 닭고기를 구입한다면 식용으로 도살되는 닭의 수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을까? 슈퍼마켓에서 닭고기 반입량을 결정할 때 닭가슴살 1인분 매출이 감소한 사실에 신경이나 쓸까? 하지만 수천 명, 수백만 명이 닭가슴살을 사지 않으면 수요가 감소하므로 식용으로 사육되는 닭도 줄어들 것이다. 이때 우리는 역설에 직면한다. 개인은 변화를 일으킬 수 없지만 수백만 명의 개인은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는 역설 말이다. 그런데 수백만 명의 행동은 수많은 개인들의 행동이 한데 모인 총합이 아닌가. 이 역설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해답은 기대가치에 있다._본문 128~129쪽

 

어떤 행위의 잠재력을 평가할 때 ‘그런 일은 절대 일어날 리가 없다’는 이유로 묵살해서는 안 된다. 지금은 상식이 된 대다수의 윤리적 관념들도 과거에는 매우 급진적인 것으로 간주되었다. 여성, 흑인, 비이성애자nonheterosexual 도 동등한 권리를 누려야 한다는 생각은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터무니없는 주장으로 여겨졌다. 벤저민 프랭클린Benjamin Franklin은 1790년 미 의회에 노예제 종식을 청원하면서 철벽같은 반대에 부딪쳤다. 의회는 이틀간 논쟁을 벌였고 노예제 옹호론자들은 “노예 소유주에게는 누가 보상해 줄 것인가?”, “인종이 뒤섞이면 미국의 가치와 특성은 어떻게 될 것인가?”라며 반대 목소리를 높였다. 그럼에도 결국 노예제는 완전히 폐지되었다. 오늘날의 관점에서 보면 그 같은 반대론은 용납하기 어렵다. 여성, 흑인, LGBT(성소수자)의 평등권을 쟁취하기 위해 힘쓴 운동가들은 승리가 눈앞에 보였기 때문이 아니라 목표를 이뤘을 때의 보상이 매우 컸기 때문에 활동을 전개해 나간 것이다._본문 136~137쪽

 

당신이 맥Mac을 살지 PC를 살지 고민 중이라고 하자. 당신은 어떤 요소를 고려할까? 아마 디자인과 편리함,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가격을 비교해 볼 것이다.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의 운영비는 얼마인지, CEO 연봉이 얼마인지는 따져 보지 않을 것이다. 왜 그럴까? 소비자 입장에서는 돈을 지불하고 구입할 상품만 눈에 들어오기 때문이다. 상품 제조사의 세세한 재무 정보는 아무래도 상관없다. 애플이 거액의 연봉을 지급해 유능한 관리자들을 경영진으로 영입한다면 애플 제품의 우수성을 보여주는 증거라며 오히려 이를 좋게 볼지도 모를 일이다. 자신을 위한 상품을 살 때도 기업의 재무건전성에 신경 쓰지 않으면서 다른 사람을 위한 상품을 살 때는 왜 그래야 할까? 다소 어이없는 예를 들어 보자. 내가 배고픈 경찰들에게 도넛을 나눠 주는 자선단체를 설립했다고 하자. 사명감에 불탄 나머지 사업 경비 중 0.1퍼센트만 간접비로 쓰고 나머지 비용은 나눠 줄 도넛을 사는 데 쓴다. 게다가 단체의 CEO인 나는 보수를 전혀 받지 않는다. 나는 훌륭한 단체를 설립한 걸까? 앞서 봤듯 가장 중요한 건 해당 자선단체가 가져올 ‘영향’이다. 당신의 기부금 100달러로 무엇을 하는지, 그 결과 사람들의 삶이 얼마나 나아졌는지를 살펴봐야 한다._본문 154쪽

 

답이 뻔한 질문 같지만 실제로 단체가 하는 일은 예상과 딴판인 경우가 허다하다. 나만 해도 선진국의 의료 자선단체 상당수가 마케팅과 웹사이트를 통해 연구 활동을 강조하면서도 실상 연구비로는 극히 일부만 할당하고 여타 사업에 나머지 기부금을 쏟아 붓는다는 사실을 알고 놀란 적이 있다. 가령 미국암학회American Cancer Society는 사업비의 43퍼센트를 환자 지원에, 21퍼센트를 예방에, 14퍼센트를 검진 및 치료에 사용하고 연구비로는 22퍼센트만 투입하고 있다. 아이스버킷 릴레이로 유명한 ALS협회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ssociation (미국루게릭병협회)는 사업비의 41퍼센트를 대중 및 전문가 교육에, 24퍼센트를 환자 및 공동체 지원에 투입하고 연구비로는 35퍼센트만 집행한다. 연구비 비중이 낮다고 해서 이들 단체에 기부하지 말라거나 해당 단체가 기만적인 마케팅 전략을 쓴다는 건 아니다. 하지만 당신의기부금이 연구비가 아니라 기타 여러 사업에 분산된다는 걸 알면 이들 단체를 다르게 평가할지도 모른다._본문 157쪽

 

안타깝게도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널리 보급된 방법 중 대다수는 그다지 효과가 없다. 그중에서도 잘 알려진 방법이 전자제품을 쓰지 않을 때 전원을 꺼 두라는 지침인데 실제 효과는 미미하다. 휴대폰 충전기를 1년 내내 꽂아 두는 것보다 뜨거운 물로 목욕 한 번 더 하는 게 탄소발자국을 더 늘린다. 대기전력 소비의 주범인 TV 플러그를 1년 내내 꽂아 두는 것보다 자동차로 2시간 달리는 편이 온실가스를 더 많이 배출한다. 방에서 나갈 때 전등을 끄라는 조언도 효과가 없기는 마찬가지다. 전등이 가정용 에너지 사용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겨우 3퍼센트다. 집에 아예 불을 켜지 않고 살아도 탄소 배출량을 감축시키는 효과는 미미하다. 비닐봉지 사용은 어떨까? 비닐봉지를 전혀 쓰지 않아도 연간 감축되는 온실가스 배출량은 100킬로그램CO2eq에 지나지 않는다. 이것도 크게 부풀려 잡은 수치이지만 이마저도 당신의 연간 탄소배출량 중 0.4퍼센트에 불과하다. 현지 생산 제품을 구매하면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다는 것도 과장된 얘기다. 식품 생산으로 생겨나는 탄소발자국 중 10퍼센트만 운송 과정에서 발생하고 80퍼센트는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사실 국내산인지 수입산인지를 따지는 것보다 구매하는 식품 종류가 더 중요하다. 수입 식품을 전혀 사지 않는 것보다 일주일 중 하루는 붉은색 육류 및 유제품을 먹지 않는 것이 탄소발자국을 줄이는 데 더 효과적이다. 수입 식품보다 국내산 식품의 탄소발자국이 더 큰 경우도 있다. 한 연구에 따르면 북유럽인들이 자국에서 생산한 토마토를 먹으면 스페인에서 수입한 토마토를 먹을 때보다 탄소발자국이 5배 커진다. 온실재배에 필요한 난방 및 조명 시설 가동으로 배출되는 온실가스량이 수송에 따른 배출량보다 훨씬 많기 때문이다._본문 190~191쪽

 

윤리적 소비 물결이 오히려 해로울 수도 있다고 생각할 만한 까닭이 있다. 바로 심리학자들이 말하는 ‘도덕적 허가moral licensing ’ 효과 때문이다. 이는 착한 일을 한 번 하고 나면 이후에 선행을 덜 실천하는 것으로 보상받으려 하는 경향을 말한다. 도덕적 허가 효과는 사람들이 실제로 착한 일을 하는 것보다 착해 보이는 것, 착한 행동을 했다고 인식하는 것을 더 중요하게 여긴다는 점을 보여 준다. 에너지절약 전구를 구입하는 행위로 ‘내 몫을 했다’고 생각하면 조금 뒤에 잔돈 몇 푼을 훔쳐도 ‘나는 좋은 사람’이라는 자기 인식이 흔들리지 않는다. 도덕적 허가 효과는 결심을 비틀 수 있다. 다른 사람이 효율적인 선행을 할 수 있도록 이끌었다 하더라도 그들이 향후 남을 돕는 횟수를 줄이는 방식으로 이타적 행위에 대한 보상을 받으려고 한다면 의미가 없다. 작은 선행에서 출발해 이를 발판 삼아 앞으로 더 효율적인 선행을 실천할 수 있도록 틀을 마련해야 도덕적 허가 효과를 방지할 수 있다. 비효율적인 이타적 행동이 문제가 되는 건 이 때문이다. 착한 일을 했다는 생각에 취하면 이후에 효율적인 이타적 행동을 할 여지가 줄어들 수 있다._본문 199~201쪽

 

피터는 직업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한 기준이 훗날 지니게 될 영향력이라고 생각했다. 그렇게 보니 로스쿨은 애초에 생각했던 것보다 매력이 훨씬 떨어졌다. 한 가지 경로에 모든 공력을 집중시켜야 할뿐더러 매우 제한적인 전문기술을 익히는 일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3년 후에는 엄청난 빚을 떠안게 될 터였다. 같은 기준으로 보면 소프트웨어 개발자나 시장조사 분석가가 비영리 단체보다 더 유망해 보였다. 즉각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고(비영리 단체에서 일하며 직접 노동력을 제공하는 것보다 소프트웨어 개발자나 시장조사 분석가로 일하며 많은 돈을 기부하는 쪽이 영향력은 더 컸다) 졸업하자마자 바로 비영리 단체에 들어가는 것보다 우선은 영리기업에 취직하는 게 장기적으로 유용한 기술들을 익히면서 더 많이 배울 수 있는 길인 듯했다. 그래서 피터는 대학 4학년 때 컴퓨터 프로그래밍 기술을 익히는 데 전념했다. 덕분에 그는 신용이 준우량near-prime 등급인 사람들에게 온라인 대출을 제공하는 시카고의 한 신생업체에 소프트웨어 개발자로 취직할 수 있었다. 자신이 몸담고 있는 회사가 세상을 이롭게 하는 데 앞장서는 곳이긴 했지만 그에게 열려 있는 진로 가운데 가장 효율적인 경로라고는 할 수 없었다. 하지만 그곳에서 프로그래밍 및 통계 기술을 익히고 사업 수완과 금융 경험을 쌓아 두면 훗날 그에게 다른 기회가 열릴지도 모르는 일이었다. 게다가 자유시간도 넉넉해 비영리 분야도 계속해서 탐색해 볼 수 있었다. 그러다 보면 향후 비영리 단체로 아예 전직할지, 현업에 종사하면서 기부를 위한 돈벌이에 집중할지 결정하는 데 큰 도움이 될 터였다._본문 221~222쪽

 

 

 

<출판사 리뷰>

 

 

기생충 치료는 어떻게

케냐 학생들의 출석률을 높일 수 있었을까?

 

트레버 필드는 회전 놀이기구인 일명 ‘뺑뺑이’와 펌프 기능을 결합시킨 ‘플레이펌프’를 아프리카 시골 마을에 보급해 식수 부족에 시달리는 사람들을 돕고 싶었다. 아이들이 기구를 돌리며 놀 때 발생하는 회전력으로 지하수를 끌어 올린다는 이 혁신적인 아이디어에 유력 기업인과 정치인, 유명인 들이 열광했고 대대적인 마케팅 캠페인에 가세했다. 이들의 후원에 힘입어 그가 설립한 자선단체 ‘플레레이펌프인터내셔널’은 날개 단 듯 급성장했다.

그런데 생각지도 못한 곳에서 제동이 걸렸다. 플레이펌프의 효과 검증에 나선 연구단체들의 보고서가 발단이 됐다. 우선 수동펌프를 더 선호한 마을에 일방적으로 설치된 사례가 많았다.  펌프 동력 공급에 아이들의 ‘노동’이 동원되면서 사고도 속출했다. 관리 체계가 허술해 자체적인 유지보수도 불가능했다. 플레이펌프는 마을의 흉물로 전락했고 그마저도 아쉬웠던 성인 여성들이 뺑뺑이를 돌려야 하는 ‘모욕적인’ 일거리를 담당하게 됐다. 각종 폐해가 드러나자 언론이 등을 돌렸고 플레이펌프 미국 지부는 결국 폐업했다._본문 14~19쪽

필드는 극빈층도 안락한 삶을 누릴 수 있는 세상을 만들고 싶었다. 하지만 플레이펌프 사례가 보여주듯 선의와 열정에만 의존한 경솔한 이타주의는 오히려 해악을 끼치기 쉽다. 비슷한 시기에 기생충구제 자선단체를 설립한 마이클 크레머의 사례는 이와 반대로 따뜻한 가슴(이타심)에 차가운 머리(데이터와 이성)를 결합시켜야 비로소 선한 의도가 좋은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사실을 여실히 방증한다.

크레머는 아프리카 학교의 출석률 높이기 프로그램 시행하는 단체에 무작위 대조시험을 권했다. 프로그램을 시행할 학교 7곳과 그렇지 않은 학교 7곳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성과를 비교해 각각 실효성을 따져 보자는 의도였다. 전례 없던 새로운 시도였다. 교과서 및 수업교구 제공은 효과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교사 1인당 담당 학생 수를 줄이는 것도 전혀 효과가 없었다. 그러다 우연찮게 동료의 권유로 기생충 감염 치료를 시행하게 됐다. 놀랍게도 비용 대비 효과가 가장 뛰어났다. 결석률이 25퍼센트나 줄어든 것이다. 완치된 아이들의 출석일수가 2주 늘었고 전교생의 추가 출석일이 기생충 구제에 투입된 지원금 100달러당 총 10년 늘어났다. 올라도 ‘그만저만’ 오른 게 아니라 ‘엄청나게’ 오른 것이다. 학생 1명을 하루 더 출석시키는 비용으로 단 5센트가 든 셈이라 저렴한 편이기도 했다.

기생충 구제는 보건, 경제 등 교육 외적인 부분에서도 연쇄 효과를 가져왔다. 빈혈, 장폐색증, 말라리아 등 다른 질병의 발병 위험도 줄었다. 10년 뒤 추적 조사한 결과 감염 치료를 받은 아이들은 그렇지 않은 아이들에 비해 주당 3.4시간 더 일했고 소득도 20퍼센트 높았다. 구충제 복용이 세수 확대로 이어져 실행 비용을 자체 충당할 정도였으니 실로 효과적인 사업이었다._본문 20~23쪽

 

당신은 수만 명의 목숨을 구할 수 있다

 

2011년 일본 도호쿠 지방에서 현지 관측 이래 네 번째로 강력한 지진이 발생했다. 1년 전인 2010년에는 아이티에서 지진이 발생해 약 28만 채의 건물이 붕괴되는 등 대규모 피해가 발생했다. 두 지진 소식은 언론에 크게 보도됐고 구호단체들도 일제히 모금에 나서 각각 약 50억 달러에 달하는 국제원조금을 지원받았다._본문 89쪽

두 재해 모두 지진으로 큰 피해가 발생했다는 점은 유사했다. 하지만 사상자 수(일본은 사후 사망자 포함 1만5000명, 아이티는 15만 명)와 대응자원 보유량(세계 4위 경제대국인 일본은 GDP가 1000배 더 많다)에는 극적인 차이가 있었다. 규모가 더 큰 재해와 빈국에서 발생한 재해에 더 많은 구호금이 전달되는 게 합리적인 대응일 테지만, 규모와 심각성이 아니라 정서적 호소력이 얼마나 큰지, 얼마나 널리 알려져 있는지에 따라 돈이 분배되는 게 현실이다. 가령 2008년 중국 쓰촨성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일본 지진의 5배, 아이티 지진의 절반에 맞먹는 8만7000명의 사망자가 발생했지만 무슨 까닭인지 대서특필되지 못했고 지원금도 일본이나 아이티에 몰려든 지원금의 10분의 1에 불과한 5억 달러에 그쳤다._본문 89~90쪽

사실 시야를 넓혀 보면 매일 도호쿠 지진 사망자 수보다 많은 1만8000명의 아이들이 결핵 등 예방 가능한 질병으로 목숨을 잃는다. 규모로 보면 아이티, 도호쿠, 쓰촨 지진보다 심각한 재난이지만 일본 지진 당시 기부금이 사망자 1명 당 33만 달러였던 데 비하면 빈곤으로 인한 사망자 1명당 구제비용으로 투입된 금액은 평균 1만5000달러로 보잘것없다. 효율을 따져 보면 재해구호에 기부하는 것보다 빈곤단체에 기부하는 게 더 합리적이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국제개발 전문가들이 “긴급 재난구조 활동은 오랜 기간에 걸쳐 검증된 보건사업들에 비해 비용은 더 많이 들고 효율은 더 떨어진다”는 결론을 내린 것도 같은 맥락에서다._본문 91쪽

우리가 자연재해에 대응하는 방식에서 드러나듯 사람들은 남을 도울 때 감정에 치우치는 경향이 강하고 기존 문제보다 새로운 사건에 더 큰 관심을 보인다. 재해가 발생하면 우리 뇌의 감정 중추는 이를 ‘긴급 상황’으로 인식한다. 새롭고 극적인 사건인 만큼 한층 더 강력하고 즉각적인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그렇다 보니 긴급 상황이 늘 발생하고 있다는 생각은 미처 하지 못한다. 질병, 가난, 독재 등 일상적인 긴급 상황에는 오히려 감정이 무뎌져 있기 때문이다._본문 91쪽

 

윤리적 소비는 왜 효과가 없는가?

 

노동착취 공장 제품이나 공정무역 상품, 육가공품을 불매하는 윤리적 소비도 세상을 바꾸는 데는 큰 효력을 발휘하지 못한다. 윤리적 소비는 소비자가 구매력을 무기 삼아 세상을 바꾸려는 운동이다. 빈국의 노동자들이 공정한 대우를 받을 수 있도록 상품에 웃돈을 지불하고 구입한다는 선의에 반대하는 사람은 없겠지만, 실제로 의도한 결과를 낳을지는 의문이다._본문 182쪽

선진국 사람들은 노동착취 공장의 비인간적 노동 환경에 분노해 불매운동을 확산하는 데 앞장서지만 사실 절대빈곤층에게는 그만한 일자리도 없다. ‘공정한 대우’를 요구하는 소비자들의 요구에 떠밀려 공장 밖으로 쫓겨난 이들을 기다리는 일자리는 기껏해야 공장일보다 더 고된 농장일이거나 넝마주이다. 좌우 진영의 경제학자들이 초당적 입장을 취해 노동착취 공장 제품 불매운동을 한 목소리로 반대하는 이유도 노동착취 공장이 빈국이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발판이 된다는 논리 때문이다._본문 184~185쪽 

가장 널리 확산된 운동인 공정무역 커피 구매는 어떨까? 결론부터 말하면 공정무역 제품을 구입한다고 해서 무조건 가난한 나라의 빈곤층에 수익이 돌아가는 건 아니다. 우선 공정무역 인증 기준은 상당히 까다로워 가난한 나라의 농부들이 기준을 충족시키기가 어렵다. 공정무역 커피 산지는 에티오피아 같은 최빈국보다 상대적으로 10배나 부유한 나라들인 멕시코, 코스타리카 등이 대다수다. 상대적으로 부유한 나라의 공정무역 제품을 구입하는 것보다 최빈국의 비非공정무역 상품을 사는 게 빈곤퇴치에 더 효율적일 수 있다는 말이다.

게다가 소비자가 지불하는 웃돈 중 실제로 노동자의 수중에 떨어지는 건 극히 일부다. 독립적으로 진행한 외부 연구에 따르면 빈국의 커피 생산자에게 돌아가는 몫은 1퍼센트 미만이다(공정무역재단은 커피 생산자에게 웃돈에서 얼마를 되돌려주는지 알려 주지 않는다). 더욱이 생산자에게 돌아가는 그 적은 몫마저 더 많은 임금으로 바뀐다는 보장이 없다. 공정무역이 큰 성과로 내세우는 지역공동체 사업에서도 정작 극빈층이 소외되는 경우도 많다. 공정무역재단의 연구용역 보고서조차 “참여 노동자들에게 공정무역이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보여 주는 증거는 부족하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쯤 되면 공정무역 제품을 살 이유가 없다. 차라리 더 저렴한 상품을 사고 그렇게 절약한 돈을 비용효율성이 높은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게 낫다._본문 186~189쪽

 

냉정한 당신이 세상을 바꾼다

 

청년층의 70퍼센트가 직장을 선택할 때 윤리적인 면을 중요한 요소로 꼽는다는 조사결과에서 나타나듯, 높은 연봉보다 사회적 기여를 더 중시하는 경향이 젊은층 사이에서 두드러지고 있다. 이 같은 학생들을 겨냥한 비영리단체들 비약적으로 성장한 배경도 이런 흐름과 궤를 같이 한다. 오프라 윈프리도 자신의 웹사이트에 ‘세상을 변화시키는 직업’을 소개할 정도다._본문 85~86쪽

세상을 바꾸는 데 즉각적인 영향을 끼치고 싶다면 공익 분야로 뛰어들라는 게 흔한 조언이다. 하지만 이처럼 ‘열정이 이끄는 대로’ 공익 단체에 곧바로 투신하거나 ‘마음이 시키는 대로’ 이타적 열정을 좇다 보면 오히려 잘못된 길로 들어서기 십상이다. 특히 이제 막 사회생활에 첫발을 뗀 초년병이라면 다양한 진로를 탐색하면서 역량, 인맥, 자격 등 경력자본을 쌓아 두는 게 더 낫다. 효율적인 단체로 꼽히는 말라리아퇴치재단의 창립자 롭 매더도 공익 분야로 뛰어들기 전 수년간 전략 컨설팅 분야에서 일하며 역량을 쌓으며 조직운영 기법을 두루 익혔다. 게다가 재단 설립 후 무보수로 일해도 될 만큼 많은 돈도 벌어 두었다._본문 217~218쪽

공익단체에서 일하지 않고도 세상을 크게 변화시킬 수 있는 길은 많다. 대표적인 방법이 ‘기부를 위한 돈벌이’다. 고소득 직장을 버리고 남을 돕는 일에 직접 뛰어드는 사람들도 있는데,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성이 없다면 계속 고소득 직종에 종사하면서 기부를 많이 하는 편이 낫다. 브라운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학계를 떠난 프레더릭 물더가 그 예다. 미술상으로 명성을 쌓으면서도 자신의 경력을 활용해 세상에 보탬이 되고 싶은 마음은 변치 않았던 그는 미술상이라는 직업이 도덕적으로 가치중립적인 일이라 마음에 차진 않았지만 미술계를 떠나 비영리 단체로 전직하는 건 자기 재능을 제대로 쓰는 방법이 아니라는 결론에 닿았다. 그는 여전히 미술상으로 활동하며 해마다 소득의 10~80퍼센트를 기부하고 있다._본문 204~241쪽

크레머와 글레너스터는 행동으로 옮기기 전에 기존의 확신을 버리고 실행 방안을 미리 시험해 증거가 말하는 대로 방향을 선회했다. 착한 일을 할 때도 이처럼 증거와 신중한 추론을 통해 그 해답을 찾아 나가는 과학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들이 실천한 선행은 세상에서 가장 유익한 선행을 판단하고 이를 실현시키고자 하는 ‘효율적 이타주의’의 대표적 사례다._본문 25~26쪽

흔히 넘겨짚듯 ‘이타주의’는 희생을 뜻하지 않는다. ‘타인의 삶을 개선시킨다’는 단순한 의미를 나타낸다. ‘효율’은 주어진 자원으로 최대한의 효과를 거둔다는 의미다. 어떤 선행이 최대 다수에게 최대의 혜택을 제공하는지를 판단하려면 착한 일에도 질적인 차이가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남을 돕는 ‘특정’ 방식이 ‘소용없다’거나 비판해야 한다는 말이 아니라 ‘가장’ 효율적인 선행이 무엇인지 꼼꼼히 따져 보고 그것부터 먼저 실천하자는 말이다._본문 26쪽 

숫자와 이성이 선행의 본질을 흐린다는 선입견을 깨지 못하면 세상에 큰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무수한 기회들을 놓치고 만다. 이 책은 우리의 선행이 선의에만 의존하면 오히려 해악을 끼칠 수 있으며, 감정에 좌우되지 않는 냉정한 판단이 앞설 때라야 비로소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음을 일깨워 준다._본문 24쪽

 

 

펼쳐 보기

저자/역자소개

저자 : 윌리엄 맥어스킬

윌리엄 맥어스킬 William MacAskill 은 옥스퍼드대학교 철학과 부교수이자 비영리 단체 ‘기빙왓위캔 Giving What We Can ’, ‘8만시간 80,000 Hours ’의 공동 설립자다. 1987년생 젊은 철학자인 맥어스킬은 기부문화에 신선한 바람을 불러일으킨 효율적 이타주의 effective altruism 운동을 이끄는 핵심 인물이다. 그가 몸담고 있는 단체는 종신기부 서약 등을 통해 5억 달러(약 5900억 원) 이상을 모금하는 성과를 거뒀으며 그 활약상이 『뉴욕타임스』, 『월스트리트저널』, BBC 등 각종 언론에 여러 차례 소개된 바 있다. 온라인 경제 매체 ‘쿼츠 Quartz’와 『뉴요커』, 『가디언』, 『인디펜던트』, 『타임』, 『워싱턴포스트』 등 유수 매체에 글을 연재·기고하고 있다. 현재 영국 옥스퍼드에 거주하고 있다.
 

역자 : 전미영

부산에서 태어나 서울대 정치학과와 같은 학교 대학원을 졸업했다. 『헤럴드경제』 등에서 기자 생활을 했으며, 푸르메재단에서 근무했다. 현재는 전문번역가로 좋은 책을 찾고 번역하는 데 힘을 쏟고 있다. 『초등학생이 꼭 알아야 할 경제 이야기』를 썼고 『다크 플랜』 『사랑받지 못한 어글리』 『오일카드』 『자기신뢰』 『부모가 알아야 할 장애 자녀 평생 설계』 『숏버스』 』『조금 달라도 괜찮아』『긍정의 배신』』『오! 당신들의 나라』『희망의 배신』『무언의 속삭임』등 다수의 책을 번역했다.

미디어속 부키 책

[조선일보] 세계에서 가장 젊은 철학 교수의 냉철한 기부

2017년 7월 20일 조선일보 어수웅 기자의 <냉정한 이타주의자> 인터뷰 기사 세계에서 가장 젋은 철학 교수의 냉철한 기부

[중앙일보] 2017년 휴가철 CEO가 읽어야 할 도서 10+1선(選)

2017년 7월 4일 중앙일보 최준호 기자의 <냉정한 이타주의자> 기사 2017년 휴가철 CEO가 읽어야 할 도서 10+1선(選)

[조선일보] 善意·열정으로 돈 낭비 마라, 기부는 과학이다

  2017년 3월 4일 조선일보 어수웅 기자의 <냉정한 이타주의자>서평기사 善意·열정으로 돈 낭비 마라, 기부는 과학이다

[한겨레] ‘착한 일’을 하기 전 따져볼 4가지

2017년 3월 2일 한겨레 손준현 기자의 <냉정한 이타주의자>서평기사 ‘착한 일’을 하기 전 따져볼 4가지  

[중앙일보] 선의로 충분? 효과적으로 선행하라

2017년 3월 4일 중앙일보 김환영 기자의 <냉정한 이타주의자>서평기사 선의로 충분? 효과적으로 선행하라

[경향신문] 길 위의 인생 外

2017년 3월 3일 경향신문 편집국의 <냉정한 이타주의자>서평기사 길 위의 인생 外

[동아일보] 무작정 기부, 누구를 위한 선행인가

2017년 3월 4일 동아일보 손택균 기자의 <냉정한 이타주의자>서평기사 무작정 기부, 누구를 위한 선행인가  

[세계일보] [새로 나온 책] 논술의 기술 외

2017년 3월 3일 세계일보 권구성 기자의 <냉정한 이타주의자>서평기사 [새로 나온 책] 논술의 기술 외  

[서울경제] <냉정한 이타주의자> 선의만 앞세운 이타주의는 `毒`

2017년 3월 3일 서울경제 박성규 기자의 <냉정한 이타주의자>서평기사 <냉정한 이타주의자> 선의만 앞세운 이타주의는 '毒'  

[매일경제] 공정무역 커피가 `착한커피`만은 아니다

  2017년 3월 3일 매일경제 김시균 기자의 <냉정한 이타주의자>서평기사 공정무역 커피가 `착한커피`만은 아니다

[내일신문] [새책마당] 냉정한 이타주의자

2017년 3월 3일 내일신문 송현경 기자의 <냉정한 이타주의자>서평기사 [새책마당] 냉정한 이타주의자

[문화일보] ‘무조건 선행’만으론 세상 못 바꾼다

2017년 3월 3일 문화일보  최현미 기자의 <냉정한 이타주의자>서평기사 '무조건 선행’만으론 세상 못 바꾼다  

[광주일보] 새로 나온 책

2017년 3월 3일 광주일보  편집국의 <냉정한 이타주의자>서평기사 새로 나온 책

[한국경제] 착한 일 할 때도 성과를 따져라

2017년 3월 2일 한국경제  최종석 기자의 <냉정한 이타주의자>서평기사 착한 일 할 때도 성과를 따져라  

[부산일보] `착한` 일, 다시 생각하면 `착한 척한` 일?

2017년 3월 2일 부산일보 이대진 기자의 <냉정한 이타주의자>서평기사 '착한' 일, 다시 생각하면 '착한 척한' 일?  

[머니투데이] “열정의 선행 버리고 냉정의 이타심 발휘해야”

2017년 3월 4일 대전일보 김고금평 기자의 <냉정한 이타주의자>서평기사 “열정의 선행 버리고 냉정의 이타심 발휘해야”  

[대전일보] 노동착취 제품 불매? 달라지는건 없습니다

2017년 3월 2일 대전일보 박영문 기자의 <냉정한 이타주의자>서평기사 노동착취 제품 불매? 달라지는건 없습니다

[뉴시스]선행이 오히려 일을 망친다…`냉정한 이타주의`

  2017년 3월 2일 뉴시스 손정빈 기자의 <냉정한 이타주의자>서평기사 선행이 오히려 일을 망친다…'냉정한 이타주의'  

[파이낸셜뉴스] 당신의 선의가 선한 결과만 낳았을까

2017년 3월 2일 파이낸셜뉴스 조윤주 기자의 <냉정한 이타주의자>서평기사 [책을 읽읍시다] 당신의 선의가 선한 결과만 낳았을까

[연합뉴스]차라리 노동착취 공장 제품을 사라고?…`냉정한 이타주의자`

2017년 3월 1일 연합뉴스 이웅 기자의 <냉정한 이타주의자>서평기사 차라리 노동착취 공장 제품을 사라고?…'냉정한 이타주의자'  

관련도서

결혼하면 사랑일까
결혼하면 사랑일까-리처드 테일러

철학자가 왜 불륜에 대한 책을 썼을까?   이 책은 불륜을 다루고 있다. 불륜이라는 일탈적인 소재···

아까운 책 2012
아까운 책 2012 -강경석 외

더 늦기 전에 읽어야 할 책들이 여기 있다 아깝게 묻힌 좋은 책들을 발굴해 널리 알리자는 취지로 시작한 ···

지금 살고 싶은 집에서 살고 있나요?
지금 살고 싶은 집에서 살고 있나요?-모나 숄레

“집은 ‘누구’와 사는 곳인가?” “집에서 ‘···

엄마가 아니어도 괜찮아
엄마가 아니어도 괜찮아 -이수희

세상의 무례함에 맞서는 아이 없는 여자들의 이야기   ― 그래도 하나는 낳아야 하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