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동계 강의 (上)

참동계 강의 (上)

남회근 저작선 17

저자 : 남회근 / 역자 : 최일범
분야 : 인문/교양
출간일 : 2019-12-31
ISBN : 9788960517677
가격 : 35,000원

환골탈태와 깨침, 이론과 실전의 결정판! 참동계는 가장 수준 높은 수도공부 지침서다   ≪참동계 강의≫에는 세 가지 들어 있다. 중국 동한 시대를 살았던 위백양 진인이 지은 ≪참동계≫ 원문과, 청나라 때 도가 전진교 용문파의 주운양 도인이 지은 주해서인 ≪참동계천유≫, 1983년 대만 시방서원에서 80회의 강의로 두 원문을 풀이한 저···

책소개

남회근 저작선 17

환골탈태와 깨침, 이론과 실전의 결정판!

참동계는 가장 수준 높은 수도공부 지침서다

 

≪참동계 강의≫에는 세 가지 들어 있다. 중국 동한 시대를 살았던 위백양 진인이 지은 ≪참동계≫ 원문과, 청나라 때 도가 전진교 용문파의 주운양 도인이 지은 주해서인 ≪참동계천유≫, 1983년 대만 시방서원에서 80회의 강의로 두 원문을 풀이한 저자 남회근의 강술이 서로 어우러져 있다.

단경의 비조로 알려진 ≪참동계≫에는 역경의 변화 원리, 노장 철학, 단도(丹道)의 수련 방법이라는 세 가지 이치가 합쳐 있다. 여기에서 단도가 지향하는 바는 명확하다. 마음을 공의 경지로 이끌어 몸을 수련하라. 그러면 깨달음과 환골탈태의 경지로 나아간다는 것이다. 역경의 원리도 간결하다. 음이 극에 이르면 양이 생겨나는 법. 역경의 괘상으로 자연의 질서를 비유해 몸의 이치를 설명하는 것이다. 노장 사상은 일관된다. 허(虛)와 무(無)의 가치를 체득하라. 몸과 정신의 성장은 그럴 때 극에 이른다. 이 세 가지 원리를 깨달아 몸으로 증험할 수 있다면 곧 생명의 진리를 파악할 수 있고 자신의 생명을 스스로 장악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 ≪참동계≫에서 말하는 수도 공부의 핵심이다.

수도 공부를 하는 사람들이 이 책을 읽고 또 읽는다면 공부의 진정한 스승이 될 것이다. 불가와 도가의 이론과 실제에 하나로 관통할 것이다. ≪참동계≫가 천고의 비전임을 긍정하게 될 것이다. 종교에 관계없이 증득하고자 하는 수행자는 반드시 읽어야 하는 책이다.

 

 

단경의 비조 참동계, 위대한 만큼 핵심을 관통하기 어려웠다
 

중국 동한(25-220) 시대 화룡진인으로 불렸던 위백양이 지은 ≪참동계≫. 도가 내단 수련의 경전으로 지난 2천여 년 동안 단경(丹經)의 비조로 알려져 왔다. 그 저술의 가치는 종교를 가리지 않고 받아들여져 ≪참동계≫는 “도가 내단파의 수도자뿐 아니라 유가와 불가에서도 필독서”(상 8쪽)로 삼아 왔다. 도가를 이단으로 비판했던 주희도 공동 도인 추흔이라는 이름으로 ≪주역참동계고이(周易參同契考異)≫라는 주해서를 썼을 정도다.

도가 내단 수련에서 ≪참동계≫가 차지하는 위치는 대단히 중요했지만 예나 지금이나 핵심을 관통하는 이는 드물었다. “문장이 고아하고 난해하여” 읽기 어려웠던 것이 하나의 이유요, 단도 수련의 방법과 원리를 ≪역경≫의 괘상과 음양오행, 납갑, 천간 지지 등으로 표현해 더욱 난해해진 것도 또 하나의 이유였다. 여기에 더해 우리의 몸과 마음은 비유나 상징으로 이해하지 않으면 비교할 수 있는 설명의 틀을 서로 합의하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었다. ≪참동계≫는 중국 고대 과학사를 연구하는 학자들이 화학, 물리, 천문학의 근원으로 인정하는 만큼 우주의 운행 원리까지 포괄하고 있으니 다루는 영역 또한 광범위하다.

사실 거의 모든 도가 서적이 이런 문제에 맞닥뜨린다. 대부분의 도가 서적이 추상적이고 모호한 이론과 상징 가득한 용어에 치우친 것이 현실이었고, 그래서 용어나 이론이 와전되고 왜곡되는 경우가 허다했다. 태양과 달의 정화를 채집한다는 뜻의 ‘채보(採補)’라는 도가의 전문 용어가 채음보양이니 채양보음이니 하여 남녀의 성적 결합을 통해 수행하는 것으로 황당하게 변질되기도 한다. 도가 수도인들이 자신이 깨달은 바를 후세에 전하지 않거나 은밀히 유통하며 세상에 드러내기를 꺼려 한 것만 보아도 단경 도서의 핵심을 올바르게 이해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알 수 있다.

 

참동계는 알려진 것만큼 어려운 책은 아니다

 

≪참동계≫는 세 가지를 합했다는 의미다. 참(參)은 셋이요, 동(同)은 같음을, 계(契 )는 합치한다는 뜻이다. 역경의 변화 원리, 노장 사상, 단도 수련의 방법 이 세 가지가 함께 어우러져 수도 공부의 처음과 끝을 환하게 밝힌다는 말이다. 알기 어렵다고 알려진 ≪역경≫과 노장에 더해 단도 수련까지 모았으니 ≪참동계≫가 후인들의 어깨를 얼마나 짓눌렀을지 짐작할 수 있다. ≪참동계≫에 대한 수십 종의 주해서가 나온 이유일 것이다.

과연 ≪참동계≫는 이해하기 어려운 책인가? ≪참동계≫는 추상적인 내용으로 뒤덮인 책인가? 저자 위백양은 분명히 말한다. ≪참동계≫는 아무렇게나 쓴 허황된 것이 아니라 “사실에 근거한” 것이라고 강조하며, “참동계의 이론을 분명히 알고 공부하면 신체적으로나 심리적으로 분명히 효험이 있다”고 말했다. 위백양 진인은 ‘증험을 인용하여 효험을 보인다[引驗見效]’고 하며 자신이 몸과 정신으로 겪어 증험한 것을 설명하고 있음을 분명히 했다. 몸으로 증거한 것을 썼다면 모호할 리 없다. 단지 비유와 상징으로 표현해서 어렵게 느껴질 뿐이다.(13강)

≪역경≫의 원리와 노장 사상도 세간의 오해와 달리 사실은 그리 모호하지 않다. 자연의 질서를 다룬 철학이자 모호함을 단순화하는 지혜의 학문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참동계≫에 나오는 ≪역경≫의 핵심 원리 하나는 자연 변화의 순차적 질서라고 할 수 있다. 겨울이 깊어지면 봄이 멀지 않으며, 봄은 곧 새로운 기운이 성장하는 것이다. 겨울은 춥고 봄은 따뜻함이 더해지는 것이라고 한다면 누구나 고개를 끄덕일 것이다. 위백양 진인은 ≪참동계≫를 통해 ‘도가의 신선 수련은 조금도 법칙을 어겨서는 안 되며’ 그것은 ‘법률이나 과학의 법칙을 어겨서는 안 되는 것과 같다’고 여겼다. ≪참동계≫에서 활용하는 ≪역경≫은 자연의 변화 질서를 상징 즉 기호로 표현하는 정도이다. ≪참동계≫에 쓰인 노장 사상도 핵심은 하나로 모인다. 허(虛)와 무(無)의 가치를 체득하라. 몸과 정신의 성장은 그럴 때 극에 이른다. 바로 노자가 말한 ‘치허극(致虛極) 수정독(守靜篤)’이자 불가로 말하면 ‘무념’이다.

문제는 요약된다. 후인들은 ≪참동계≫가 설명의 도구로 삼는 ≪역경≫과 노장 사상을 지나치게 확대 해석하고 있어 지레 겁을 먹은 것이다. 그 때문에 ≪참동계≫는 난해하다는 오해가 생겼다. 물론 2천여 년 전의 의식과 문자로 쓴 원문이 난해하기는 하다. 하지만 남회근이 강술한 ≪참동계 강의≫는 원문의 난해함과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상징과 비유적 표현을 뛰어넘어 ≪참동계≫의 내용을 뚜렷하고 풍성하게 만들었다. 함께 풀이한 청대의 도가 북종 용문파의 진인 주운양이 쓴 주해서 ≪참동계천유≫는 불교적 관점에서 정통 도가 수련의 의미를 밝혀내며 정통 도가 이론과 불교가 다르지 않음을 보여 주었다. 저자는 많은 주해서 중에서 ≪천유≫가 가장 뛰어나다고 하며 “도가의 최고 정통 이론이 그 속에” 들어 있으며 문장도 좋고 원리도 명확해 “백 번 이상 읽고”도 읽을 때마다 새로운 깨달음을 얻었다고 찬사를 보냈다.(9강) “북종의 대가였지만 남종의 각종 수련법에도 통달”했으며(2강) 또 “불가의 선종에서 도가로 전향한 분”(상 6쪽)이어서 항상 선법(禪法)으로 해설하였으니 정통 도가 수련에 불가 선종의 이해까지 어우러지게 하였다.

1983년 대만 시방서원에서 80회에 걸쳐 저자가 강의한 이후 여러 사람이 ≪참동계≫의 본뜻을 이해하고 수도 공부의 진보에 도움을 얻었다고 밝힌 바 있다. “행자(行者) 중에는 공부를 수지(修持)하는 과정에서 도가의 참동계 같은 저작은 해설이 구체적이고 상세하며 게다가 대치(對治) 방법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는 사람”도 있었고, 또 “강해를 자세히 깊이 연구하니 비로소 불법의 수지에 대해 더 명료해졌으며, 더욱이 동진(東晉) 초기에 전래된 불가의 선정 수련인 십육특승법문(十六特勝法門)을 진정으로 체득하게 되었다는 사람”도 있었다고 한다. 또 어떤 경우는 “참동계를 대략이라도 알게 되어 비로소 무엇이 정통 도가이고 무엇이 사설(邪說) 난도(亂道)인지를 이해하게 되었고, 세상에 와전된 것과 왜곡된 것을 태반 수정하게 되었다는 사람도 있었다.”(5쪽)

 

이론과 실전의 결정판, 최고의 수행 지침서이자 수행의 스승이다

 

≪참동계≫는 수도 공부의 지침서로 그 어느 책보다도 이론적이고 실전적이다. 이론적이기에 실전적이고 실전적이기에 현실적이다. 현실적인 만큼 모호한 수도 공부의 핵심을 잘 짚어 주고 있다. 실제로 수도하는 과정에서 ‘어떤 경계를 만나거나’ 몸에서 기의 움직임이 느껴지는데 ‘그것이 어떤 신호인지 모른다면 쓸데없는’ 공부를 하는 것이 분명하다. 이런 의미에서 ≪참동계≫는 수도 공부를 하는 사람들에게 좌표가 될 만하다.

하지만 ≪참동계≫는 “천서(天書)를 읽는 것같이 어렵고”(상5쪽), 그 주해서인 ≪참동계천유≫ 역시 삼백여 년 전의 고문인 데다가 ≪역경≫과 음양오행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현대인이 읽기에 녹록치 않다. 올바른 관점으로 수도 공부를 해 성취를 이룬 사람의 도움이 없으면 그 의미를 제대로 알기 어려운 것이 이런 유의 책의 특징이다. 여기에 ≪참동계 강의≫의 의의가 있다.

≪참동계≫와 ≪참동계천유≫, 두 원문에 대한 남회근의 풀이가 다 들어 있는 것이 바로 이 책이다. 저자는 불가와 도가, 현교와 밀종의 수행 체험이 넓고도 깊고, ≪역경≫과 노장 사상에 해박한 데다 임독맥이나 경락 등 동양 의학의 기초 이론에도 밝다. 수도 공부 과정에 관한 각 종교와 분파의 용어나 개념을 비교하고 대치하는 데 막힘이 없으니 도가에서 공(空)의 개념을 찾아내고 불법에서 수행의 증거를 보여 준다. 기맥을 말하다가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의 기능을 말하는가 하면 도가의 독맥을 말하다가 우리 뇌의 열두 쌍 신경이 레이더처럼 밖으로 뻗어 있는 것을 설명한다. 동서와 고금을 자유자재로 넘나드니 고전에 밝지 않은 사람들에게도 정확한 개념에 이르도록 길을 열어 준다.

수(水)에서 시작해 금(金)으로 상징되는 자성을 기르지 못하면 화(火)로 상징되는 생각이 멈추지 않음을 설명하는 대목이다. 이 자성은 우리 신체의 유형의 정(精) 즉 호르몬과 같은 것인데 이것이 충만해야 자성이 청정 광명해진다. 도가에서 생명의 뿌리라는 금단(金丹)을 이루는 과정의 설명이다. 저자는 상징과 상징, 상징과 실제, 본질과 현상, 감춰진 것과 드러난 것을 보여 주며 길을 헤매지 않고 고요함을 길러 궁극적으로 생명의 본성을 회복하고 우주 자연과 감응하는 ‘적연부동(寂然不動 ) 감이수통(感而遂通)’의 길로 이끄는 것이다.

“성(性)을 기르지 못하면 잡념과 망상이 매우 많아집니다. 신체에 감추어진 자성은 본래 천일생수(天一生水)에서 온 것입니다. 그러므로 수(水)가 충만하지 못하면 진액도 나올 수 없습니다.” “도가에서는 타액을 두 가지로 구분합니다. 하나는 ‘옥액환단(玉液還丹)’이고 또 하나는 ‘금액환단(金液還丹)’입니다. (중략) 모두 우리 생명 속에 본래 존재하는 것이지요. 그렇다면 이것은 어디에서 올까요? 바로 우리 자신이 고요함을 길러 최고조에 도달하면 자성의 청정에 가까이 갈 수 있고, 그때 수성(水性)이 자연히 나타납니다. 그러므로 금(金)과 수(水)의 관계는 바로 성(性)과 명(命)의 관계입니다. 위의 것은 뇌하수체에서 나오는 진액이고 아래의 것은 욕망의 근원인 성 호르몬 같은 것입니다. 그것이 발동할 때 남녀 간의 성적 욕망을 더하지 않아야 참으로 청정한 수(水)가 될 수 있습니다.”(34강)

≪참동계≫는 삿되지 않고 대단히 수준 높은 지침서이다. ≪참동계≫가 다른 도서와는 격을 달리 하는 근거이자 저자가 “전무후무한 대단히 위대한 저서”이자 수많은 단경 도서가 나왔지만 “참동계를 뛰어넘는 책은 없었”다고 한 이유다. 여기에 ≪천유≫와 남회근의 강의가 덧붙었으니 최고의 수행 지침서가 될 만하다. “참동계에는 수행 공부의 모든 방법이 망라되어 있습니다. 여러분은 다른 곳에 가서 따로 스승을 찾을 필요가 없습니다. 이 책이 바로 스승입니다. 여러분이 스스로 읽고 또 읽으면 어느새 통달하게 될 것입니다.(중략) 여러분이 이 책을 전부 관통해야 그것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74강)

펼쳐 보기

저자/역자소개

저자 : 남회근

1918년 절강성 온주에서 태어나 어릴 때부터 서당 교육을 받으며 사서오경을 읽었다. 17세에 항주국술원에 들어가 각 문파 고수들로부터 무예를 배우는 한편 문학, 서예, 의약, 역학, 천문 등을 익혔다.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사천으로 내려가 장개석이 교장으로 있던 중앙군관학교에서 교관을 맡으며 사회복지학을 공부하였다. 교관으로 일하던 시절, 선생에게 큰 영향을 준 스승 원환선을 만나 삶의 일대 전환을 맞는다.
1942년 25세에 원환선이 만든 유마정사에 합류하여 수석 제자가 되었고, 스승을 따라 근대 중국 불교계 중흥조로 알려진 허운선사의 가르침을 배웠다. 불법을 더 깊이 공부하기 위해 중국 불교 성지 아미산에서 폐관 수행을 하며 대장경을 독파하였고, 이후 티베트로 가서 여러 종파 스승으로부터 밀교의 정수를 전수 받고 수행 경지를 인증 받았다.
1947년 고향으로 돌아가 절강성 성립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던 문연각 사고전서와 백과사전인 고금도서집성을 열람하고, 이후 여산 천지사 곁에 오두막을 짓고 수행에 전념하였다. 전쟁이 끝난 후 1949년 봄 대만으로 건너가 문화대학, 보인대학 등과 사회단체에서 강의하며 수련과 저술에 몰두하였다.
1985년 워싱턴으로 가서 동서학원을 창립하였고, 1988년 홍콩으로 거주지를 옮겨 칠일간 참선을 행하는 선칠 모임을 이끌며 교화 사업을 하였다.
1950년대 대만으로 건너간 후부터 일반인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유불도가 경전을 강의하며 수많은 제자를 길렀고, 강의 내용을 바탕으로 40여 권이 넘는 책을 출간하여 동서양 많은 독자로부터 사랑을 받아 왔다.
선생의 강의는 유불도를 비롯한 동양 사상과 역사에 대한 해박한 지식, 깊은 수행 체험에서 우러나오는 엄중한 가르침, 철저히 현실에 기초한 삶의 자세, 사람을 끌어당기는 유머를 두루 갖춘 것으로 정평 있다.
2006년 이후 중국 강소성 오강시에 태호대학당을 만들어 교육 사업에 힘을 쏟다가 2012년 9월 29일 세상을 떠났다.

역자 : 최일범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 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동양철학과에서 종교철학을 전공하였다. 철학 박사. 성균관대 유학대학 학장 및 유교문화연구소장, 도교문화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현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 교수이고 한국철학인문문화연구소 소장이다. 저서로 『중국윤리사상』이 있고 역서로 『중국철학사』 『정좌수행의 이론과 실제』 등이 있다.
 

관련도서

불교수행법 강의
불교수행법 강의 -남회근

수행자들의 수행 지침서 『불교수행법 강의』는 재가 및 출가 수행자들이 올바른 견지에서 심신을 닦아 성···

정좌수도강의
정좌수도강의-남회근

몸이 변해야 마음이 변한다. 정좌의 이론적 기초부터 실제 체험까지! 정좌란 무엇일까. 왜 정좌를 해야 할···

유가사지론 강의 (하)
유가사지론 강의 (하)-남회근

불법을 배우고 닦고 지키는 데에는 가장 기본적인 것이 가장 높고 깊은 것이다 바른 가르침을 듣고 사···

대학강의 하
대학강의 하-남회근

온전한 모습의 ‘대학’을 보려면 ‘원본 대학’을 읽으라 유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