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 본능

집단 본능

저자 : 마이클 모리스 / 역자 : 전미영
분야 : 정치/사회
출간일 : 2025-08-08
ISBN : 979119352876103100
가격 : 22원

“호모 사피엔스는 똑똑한 뇌가 아니라 협력하는 뇌 덕분에 살아남았다” 우리 안에 프로그래밍된 위대한 능력, 부족 본능 오늘날 정치의 양극화와 상호 불신은 극에 달해 있다. 초당적 협상 능력을 상실한 의회는 입법 교착 상태가 상습화되었고, 민주당과 공화당은 선거에서 지면 으레 소송을 제기한다. 이러한 선거 결과 부정, 입법 교착···

책소개

집단 본능

“호모 사피엔스는 똑똑한 뇌가 아니라 협력하는 뇌 덕분에 살아남았다”

우리 안에 프로그래밍된 위대한 능력, 부족 본능

오늘날 정치의 양극화와 상호 불신은 극에 달해 있다. 초당적 협상 능력을 상실한 의회는 입법 교착 상태가 상습화되었고, 민주당과 공화당은 선거에서 지면 으레 소송을 제기한다. 이러한 선거 결과 부정, 입법 교착 상태 등 양당제 기능 붕괴는 민주주의의 종말까지 우려하게 만든다. 양 당파 지지자들은 심지어 거주 지역, 말하는 방식, 좋아하는 음악 장르, 소유한 차량 형태, 즐기는 음식 종류, 선호하는 의류 브랜드조차 다를 정도다. 왜 이런 극단적 분열과 갈등, 혐오와 차별이 일상화된 것일까? 많은 전문가는 “부족주의”, 곧 다른 집단에 대한 원초적 적대감을 이 모든 문제의 근본 원인으로 지목한다. 그런데 이 주장은 과연 사실일까? 세계적으로 저명한 문화심리학자 마이클 모리스 교수는 이 책에서 결코 그렇지 않음을 진화와 과학에 근거해 입증해 보인다. 그러면서 우리를 “부족”과 “부족주의”에 대한 전혀 새로운 이해로 안내한다.

네안데르탈인은 호모 사피엔스처럼 척추가 곧았고, 뇌 크기도 같았고, 신체는 더 강했다. 하지만 호모 사피엔스가 유럽에 퍼지고 몇천 년 뒤 네안데르탈인은 멸종하고 말았다. 왜일까? 네안데르탈인은 인근 씨족들과 싸우고 서로 잡아먹었다. 반면에 호모 사피엔스는 그들과 거래하고 짝짓기를 했다. 개인 역량에서는 뒤졌지만 집단 역량에서는 더 뛰어났던 것이다. 신뢰와 협력에 바탕을 둔 집단을 형성할 줄 아는 “부족 본능”, 바로 이것 덕분에 호모 사피엔스는 경쟁에서 살아남았고, 결국 지구를 정복했다. 히딩크가 한국 축구 대표팀을 월드컵 4강으로 이끌고, 리콴유가 부정부패에 물든 싱가포르를 선진국으로 만들고, 사티아 나델라가 마이크로소프트를 재건해 기술업계의 정상에 올려놓은 기적의 배경에는 어김없이 이 부족 본능의 힘이 작동했다. 통념과 달리 부족 본능은 우리를 분열과 혐오로 이끄는 버그나 약점이 아니다. 오히려 진화적 상승을 가능하게 만든 우리 종의 특징이며, 오늘날에도 여러 위대한 업적을 이루게 하는 원동력이고, 우리만의 독특한 문화를 창조하는 막강한 능력이다. 이 사실을 재발견할 때 부족 본능은 인류를 증오와 적개심으로부터 구할 해결책이 되어줄 것이다.

 

펼쳐 보기

저자/역자소개

저자 : 마이클 모리스

역자 : 전미영

부산에서 태어나 서울대 정치학과와 같은 학교 대학원을 졸업했다. 『헤럴드경제』 등에서 기자 생활을 했으며, 푸르메재단에서 근무했다. 현재는 전문번역가로 좋은 책을 찾고 번역하는 데 힘을 쏟고 있다. 『초등학생이 꼭 알아야 할 경제 이야기』를 썼고 『다크 플랜』 『사랑받지 못한 어글리』 『오일카드』 『자기신뢰』 『부모가 알아야 할 장애 자녀 평생 설계』 『숏버스』 』『조금 달라도 괜찮아』『긍정의 배신』』『오! 당신들의 나라』『희망의 배신』『무언의 속삭임』등 다수의 책을 번역했다.

관련도서

보노보 은행
보노보 은행-이종수 유병선 외

착한 시장을 만드는 ‘사회적 금융’ 이야기   2008년 금융 위기를 통해 ···

중국이 세계를 지배하면
중국이 세계를 지배하면-마틴 자크

중국이 세계를 지배하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중국은 서구식 민주주의 국가가 될 것인가? 일본을 제치···

우리는 미국을 모른다
우리는 미국을 모른다-김동현

“혈맹 미국이 한국에 정말로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신냉전 패권 경쟁 시대, 달라···

실직 도시
실직 도시 -방준호

이것은 그들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바로 지금 우리 모두의 이야기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빵집, 근···